수험생의 집중력

잡담 2010. 8. 31. 20:52

공부에 관한 얘기를 할 때 집중력을 많이 언급하곤 한다. 대개 집중력의 좋고 나쁨은 결과(시험점수, 등수 등)로 평가된다.
그러나 집중력 그 자체를 놓고 보면 내적(주관적, 개별적) 특성이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 단지 결과인 수치로 대체될 뿐이다. 성적이 좋으면 반드시 집중력이 좋다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결과만 좋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엔 필수적으로 소요시간이라는 변수가 들어간다. 그래서 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 싶었다. 

편의상 내적 집중력과 외적 집중력으로 구분해보겠다.

<내적(질적) 집중력>
겉으로 표현되지 않는 집중력이다. 측정되지 않고, 개인적인 만족감으로 어렴풋이 알 수 있다.
정신(관심사)이 분산되지 않는 정도를 말한다. 소극적 의미로는 스트레스를 피하는 정도, 적극적 의미로는 편안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건 짧은 시간 동안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해준다.
늦잠을 자거나 하여 지각하는 경우 등 사소한 것들이 불필요한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공부를 하는지와 상관없이 매일 같은 시간에 학습장소에 있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사람마다 그 기준이 다르다.

<외적(양적) 집중력>
측정가능한 집중력이다. 즉 실제 학습의 효과(성취도)에 관련된 측면이다.
내적 집중력이 과정적, 심리적 측면이라면 외적 집중력은 겉으로 드러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말했지만 시간과 관련된 효율성의 문제이다. 따라서 시험공부 방법도 외적 집중력에 포함된다.

시험을 위한 공부는 '수업(강의) → 교과서(기본서) 복습 → 문제풀이 → 오답 등 정리' 순으로 하는 게 보통이다.
기본서를 복습하면서 노트정리를 하는 과정도 있는데, 따로 시간을 내어 하기엔 능률이 떨어진다. 그래서 빼버렸다. 선생님의 생각보단 나의 생각이 주가 되며, 문제풀이 이전의 과정이라 쓸모없는 필기가 첨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나의 경우엔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린다. 
노트필기 대신 강의를 들으며 선생님이 강조한 부분만 동시에 빠르게 책에 정리하는 게 나을 거 같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건 자신의 약점을 보완함이 가장 큰 목적인데 그걸 생각하면 틀린 문제를 추려 다시 볼 수 있도록 하는 게 효과적이다. 오답노트라고들 한다.
그러나 따로 시간내서 새로 적으며 정리할 필요는 없다. 복사해서 오려붙이던가 문제집에 체크해두던가 하는 게 좋겠다. 외적 집중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시간절약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차피 시험공부의 최종목적은 정답을 찍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기 때문에, 노트필기는 무거운 책을 가볍게 하려는 중간과정에 불과하다.
그러나 오해하지 마시라. 효과는 물론 있지만 능률이 떨어진다는 말이다. 실제시험이라는 데드라인이 있기 때문이다.
차라리 그 시간에 책을 한 번 더 읽으며 밑줄을 두 번 치자.

스탑와치를 갖고 다니며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건 희대의 뻘짓이다.
책 대신 시계를 쳐다볼 경우가 많아지며, 결과적으로 신경쓰이는 게 하나 더 늘어난 셈이 된다.
공부할 때 켜고 안할 때 끄고 밥먹을 때 끄고.. 이게 무슨 짓인가.
그리고 예를 들어 오늘은 10시간 공부를 목표로 세웠는데 집에 갈 때 확인해보니 9시간이더라..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10시간이라는 숫자는 공부의 효율과는 별 관련이 없는 심리적 만족에 불과하다.
시계는 배고플 때만 보자.
하루가 눈깜빡할 사이에 가버리는 것이 진정한 외적 집중력이다.

학습계획을 세우는 방법은 개인마다 모두 다르므로 포함시키지 않겠다.
난 주간, 월간, 연간계획 이런 거 세우지 않기 때문에 따로 할 말도 없다.
내가 지금 이 글을 쓰는 것처럼, 스탑와치를 갖고 다니는 것처럼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주간계획을 세우기 위한 시간이 그 대신 책보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한다면 실행하자. 
매주, 매월, 또는 매년 꾸준히 할 수 있겠는가.
중요한 건 지키지 못할 약속은 하지 마라. 학습계획이 구체적이 될수록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또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셈이다. 게다가 세부적인 계획 작성에 시간이 더 걸리는 건 덤.
합격 직전까지의 계획을 짜서 완벽하게 실천할 자신이 없다면(심리적 의지로 생각하지 말고 물리적 시간으로 생각하자. 대개는 과욕이 될 가능성이 높다), 계획표 짜는데 몇날며칠 소비하지 말자.
만약 간단한 계획이라 얼마 안걸린다고 해도, 그걸 굳이 종이에 예쁘게 옮겨 둘 시간을 쓸 필요가 없다. 그 정도의 계획은 누구나 머리 속에 다 있다.
예를 들어 '한달 동안 이 과목을 다 보겠다' 정도의 계획이면 충분하다.

다음엔 반복학습에 대해 적어보겠다. 이것도 측정가능한 외적 집중력에 포함된다.

Posted by 센테너리
,